창작촌맛집 2

[내사랑 문래] 문래창작촌 맛집, 로라멘과 러스트베이커리

여기에 산지도 어언 6년이 넘어가는구나, 인근의 아파트에 입주를 해서, 회사생활과 결혼 상활에 매진을 했다. 젊은 날 나와 함께한 문래 창작촌과 문래동은 나에게는 꽤 많은 의미를 준다. 문래창작촌 문래창작촌이란 의미가 무색하리만큼, 이곳은 청년들의 혹은 젊은 사업가들의 기회의 장으로 활성화가 된다. 아이디어가 넘치는 맛집, 메뉴들, 인테리어들 등이 이곳의 의미를 대변한다. 젠틀리피케이션이 오기 전에 입점을 한 업체는 큰 문제는 아닐 것 같다. 사실 이곳은 가로수길이나 이태원이랑은 조금 다른 양상, 성수동과도 마찬가지다. 곳곳이 공업사이고, 규모가 다 너무 소규모라서 크게 재개발이 되지 않는 이상 자본이 들어오기가 힘들다. 준공업지구의 한계. 성수동과는 또 다른 것이 성수동도 공장이지만, 스케일이 다르다...

[문래창작촌 맛집] 정리!, 5년간 살면서 얻은 지식 방출 (파트 1)

문래창작촌 특성 문래창작촌은 아시겠지만, 원래 유명한 곳은 아니었다. 문래를 떠나서, 영등포라는 곳은 가슴이 아프지만, 사통팔달의 교통 요지의 입지로 한강으로 인천에 물자를 이동할 수 있는 곳이었고, 일제 수탈의 교두보라고 보면 될 것 같다. 이후에도 발전을 하여, 영동이라고 하는 것은 영등포의 동쪽을 가리킨다. 강남이 발전하기 전에는 영등포의 서쪽이 상당히 부유했다고 한다. 일장 연설은 여기서 끊고, 공업이 발달하기 시작했고, 소규모 공장들이 구로공단이나 영등포에서 늘어나기 시작하여, 현재도 베어링이나 알곤용접, 밀링머신, 선반 작업 등 이러한 작은 업체들이 많이 있다. 그래서 재개발도 힘든 게 사실이다. 영등포 당산1동은 준공업지구이기도 하다. 그런데 어느 날부터, 작은 소자본으로 작가나, 예술을 하..